숲에는 야생동물들이 많이 살고 있습니다. 지역주민과 마찬가지로 그들에게도 생존할 수 있는 터전이 필요합니다. 과거에 비해 가뜩이나 좁아진 입지 때문에 궁지로 몰리는 상황에 ‘숲길’까지 들어서 사람들이 깊은 숲까지 들어가게 된다면, 인간과 동물의 공생관계는 최악의 상황을 불러올 것입니다. 옛길이나, 오랫동안 다니지 않은 길은 자연으로 되돌아가 회복단계에 있습니다. 세상의 온갖 자연물이 그렇듯 길도 돌아갔습니다. 그런 길을 살려내어 사람들을 다시 다니게 한다는 것은 ‘죽은 이’를 살려내는 것과 같을 것입니다. 자칫 잘못하면 그것이 ‘좀비’ 또는 프랑켄슈타인에 나오는 ‘괴물’처럼 될 수도 있습니다. 그것들은 움직이지만 정말로 살진 않았습니다. 죽어있는 길이 아닌 정말로 살아있는 그런 길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길의 복원은 생태계 파괴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좀비’가 되느냐, 살아있느냐 어떠냐에 따라서 말입니다. 살아있는 길은 주변과 어울려 길 그대로가 자연이 되겠지만 죽은 길은 생태계 파괴를 불러옵니다. 예를들면, 길의 확장을 막기 위해 설치한 시설물(데크 등)은 보호효과는 크지만 사람들이 자연을 직접적으로 느끼는데 큰 불편을 끼쳐 본래의 조성의도를 거스르게 됩니다. 그 외의 인공적인 구조물도 마찬가지입니다. 또, 아름다운 자연을 소개하겠다는 좋은 취지가 수많은 사람들을 몰려들게 만들어 망가지게 만든다면 안되겠지요. 산림청의 산림문화체험 숲길은 말 그대로 산림과 문화를 체험하는 길입니다. 그저 길만 있다면 여행자들은 지겨워할 것입니다. 그런면에서 강원도의 약수숲길이나 야생화숲길, 호반숲길이나 동학숲길 등의 주제를 가지고 조성을 하려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길이 들어서기 전 컨텐츠에 대한 구체적인 구상과 계획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구체적인 구상을 하지않은 상태에서 길이 조성이 된다면 ‘팥속 없는 호빵’이 될 것입니다. 제한적인 통행이 필요합니다. 모든 길을 그렇게 할 필요는 없습니다만, 야생동물이 다수 서식하는 곳 등 특별히 보호가 필요한 지역에는 반드시 그렇게 해야합니다. 앞서 주민의 반대, 야생동물의 보호, 길과 그 주변의 파괴 최소화 등을 이야기 했습니다. 그것들을 대부분 충족시킬 수 있는 조건이 바로 ‘제한적 통행’입니다. 구체적으로 ‘예약제’를 통해 이룰 수 있습니다.
문화관광부의 '스토리가 있는 문화생태 탐방로'
우리나라의 산림에는 임도가 많이 있습니다. 산을 지나는 숲길의 특성상 임도와의 만남은 불가피합니다. 대부분의 임도는 산림청의 의도대로 관리 및 긴급차량 이외에는 통행이 불가하게 되어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에게 개방된 임도도 적지않습니다. 멀리서부터 ‘숲길’을 여행하기 위해 방문한 여행자가 그곳에서 매연과 시끄러움을 동반한 차량을 만난다면 여행의 묘미는 반감될 것입니다. | ||
철로 된 비석, 울진내성행상불망비 (4) | 2009.04.21 |
---|---|
친절한 서울 성곽길 안내서가 나왔어요.! (9) | 2009.04.10 |
걷기에 대한 나의 생각, 이제는 걸읍시다. (8) | 2009.03.25 |
도화지에 연필로 그린듯한 신비한 지리산 (2) | 2008.12.11 |
동물을 닮은 신기한 지리산 고사목 (2) | 2008.12.1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