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화田 답畓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온화田 답畓

메뉴 리스트

  • 달려라 자전거
  • 농사짓기
  • 자연관찰
  • 자연출산
  • 요리하기
  • 만들기
  • 칼럼
  • 귀농정보
  • Gallery
  • 방명록
  • 전체 (543)
    • 농사짓기 (19)
    • 자연관찰 (7)
    • 자연출산 (5)
    • 요리하기 (15)
    • 책읽기 (6)
    • 만들기 (3)
    • 환경/생태 칼럼 (0)
    • 귀농/귀촌 정보 (7)
    • 봉화/영주 여행정보 (6)
    • 도시를 떠나는 꿈 (26)
    • 달려라자전거 (85)
    • 지구를 지켜라 (72)
    • 강의 눈물 (153)
    • 여행 (30)
    • 사진 (25)
    • 영상 (11)
    • 세상살이 (68)

검색 레이어

온화田 답畓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살리기

  • 4대강 보 '두동강 발언' 배경 알아보니, 경악

    2012.01.27 by 채색

  • 환경단체 고발? 표창을 해도 모자란 일을...

    2012.01.24 by 채색

  • 4대강 1호 생태공원이 '생태공원'이 아닌 5가지 이유

    2012.01.21 by 채색

  • [영상] 4대강 사업은 '죽이는' 사업

    2011.11.05 by 채색

  • [영상] 4대강 SOS

    2011.11.01 by 채색

  • 초딩도 아는 모래정화능력! 정부는 모른다~

    2010.11.09 by 채색

  • 4대강 공사장에서 쫓겨나는 참개구리, 이제 어디가나?!

    2010.11.08 by 채색

  • 참혹한 여주 신진교 붕괴, 4대강 사업 때문이다.

    2010.09.28 by 채색

4대강 보 '두동강 발언' 배경 알아보니, 경악

얼마전 생명의 강 연구단에서 4대강 사업현장 조사 후 결과발표를 하며 '보가 두동강 날 수도 있다'며 우려를 표명했었습니다. 이에대해 권도엽 국토해양부 장관은 사실이 아니라며 '고발'하겠다며 엄포를 놨었는데요. 제가 결과발표를 하는 자리에 가지 않아서 언론을 통해서만 대강 내용을 알 수 있었는데, 내용이 무척이나 궁금했습니다. 명절을 마치고 돌아와보니 마침 발표자료가 메일로 와 있어서 자세히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핵심내용은 '4대강 보'는 진짜 '보'였다는 것입니다. 겉으로 드러난 규모로는 국제대댐협회에서 규정하는 대형댐에 해당하지만 설계상 '보'로 설계했다는 것입니다. 박창근 교수는 발표자료를 통해 "4대강에 설치되는 대부분의 보 본체가 암반위에 건설되지 않았고 물이 보 본체 아래부분을 통과하지 못하..

강의 눈물 2012. 1. 27. 07:14

환경단체 고발? 표창을 해도 모자란 일을...

▲ 구미보 좌안 날개벽 부분이 내려앉았다. 보 하류부분 바닥보호공이 물에 쓸려내려가며 일어난 사고다. 환경단체는 이들 보호공이 다 쓸려갈 경우 보 자체가 내려앉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사진=녹색연합 지난 1월 19일 권도엽 국토해양부 장관은 4대강을 모니터링 하는 환경단체를 고발하겠다며 기자들 앞에서 큰소리를 쳤습니다. "4대강 사업과 관련해 사실과 전혀 다른 주장"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환경단체의 발언 때문에 "국민들이 마치 큰 문제가 있는 것처럼 불안해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이유를 댔습니다. 환경단체, 즉 생명의 강 연구단(녹색연합, 환경연합, 시민환경연구소, 유원일 의원실, 라디오 인, 강,원래 프로젝트 등이 함께 함)은 작년 4대강 보들의 담수 후 보에서 누수 등 심각한 부실이 발견되..

강의 눈물 2012. 1. 24. 07:30

4대강 1호 생태공원이 '생태공원'이 아닌 5가지 이유

명절이라 고향집에 내려 왔습니다. 제 고향은 다름아닌 부산의 낙동강변 옆 덕천동이라고 하는 곳입니다. 하구둑으로 막히고 제방이 콘크리트로 덮이기 전까지는 강변에서 놀기도 했었죠. 오랫만에 내려온 고향이지만 제버릇 남 못준다고 가까운 4대강 현장을 찾았습니다.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고, 정부에서 1호 생태공원이라 부르는 '화명생태공원'에 간 것입니다. 재작년에 공사가 막 시작될 때도 갔었고, 작년 공사가 마무리 된 시점에도 갔었는데요. 그 때는 차를 타고 가거나 자전거를 타고 갔습니다만, 이번에는 걸어서 갔습니다. 생태공원이라면 마땅히 걸어서도 갈 수 있어야 하니까요. 이제 개방한 지 1년 가까이 지난 시점이라 어떻게 되어 있을지 무척이나 궁금했습니다. 돌아보며 생각난 것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생..

강의 눈물 2012. 1. 21. 07:03

[영상] 4대강 사업은 '죽이는' 사업

강은 살아있었다. 우리가 늘 보던, 도심의 강이 죽어있던 것으로 착각했던 것이다. 눈물나게 아름다웠던 강, 그 속에 살아가던 수많은 생명들. 이것을 완전히 무시한 채 공사는 강행되었다. 누구를 위한 것이었는가?! 4대강 살리기는 다름아닌 4대강 殺리기 였다. ps. 영상은 제가 만든 겁니다.^^

영상 2011. 11. 5. 06:48

[영상] 4대강 SOS

낙동강 상류인 내성천, 그곳은 낙동강이 모래강이 되도록 가장 큰 역할을 하는 하천 중 하나이다. 모래는 우리 강에서 없어서는 안될 존재이며, 그 가치는 자연이 늘 그렇듯 따지기도 힘들 정도다. 4대강 사업으로 인해 상류인 이곳마저도 모래가 쓸려나가고 황폐화되고 있다. 더군다나 이보다 더 상류에는 거대한 댐마저 들어선다. 사람들은 이곳에 모여 "살라달라"고 소리높였다. 4대강 SOS --------------------------------------------- 5D mark II 로 1초당 1컷씩 촬영해 연결했습니다. 흔히 Timelapse 라고 하지요. ---------------------------------------------

영상 2011. 11. 1. 11:14

초딩도 아는 모래정화능력! 정부는 모른다~

추천 버튼 4대강 추진본부에서 만든 홍보영상 중 강물이 흐르면서 강변에 모래를 쌓았고 그것이 강의 동맥경화를 일으켰다고 나온다. 4대강 공사장을 하는 이유 중 하나로 매번 언급한다. 정말 그럴까?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운영하는 학습사이트 에듀넷에는 초등학교 6학년 2학기에 나오는 '간이 정수기' 제작과정을 플래시로 따라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았다. 이 그림에는 강바닥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인 자갈과 모래가 '간이 정수기'에 들어간다고 설명해 두었다. 링크 우선 상식선에서 살펴보자. 대한민국 중고등학교 정규교육과정을 거친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간이 정수기'에 대한 공부를 했을 것이다. 지금의 교육과정을 검색해보니 초등학교 6학년 과학에서 정수기를 만드는 실습과제가 들어가 있다. 다양한 재료로 정수기를 만..

강의 눈물 2010. 11. 9. 07:06

4대강 공사장에서 쫓겨나는 참개구리, 이제 어디가나?!

추천 버튼 설마 여기도.. 설마.. 설마.. 하던 상주의 경천대 마저도 공사가 들어가기 시작했습니다. 새하얀 백사장과 맑은 강물이 무지무지하게 아름다웠던 곳이었습니다. 바다의 백사장도 좋지만 이곳 강변의 백사장에 와보신 분이라면 아마 어느 곳이 더 좋다 말씀 못하실겁니다. 경포대보다, 해운대보다.. 더 가치가 있었을 지도 모르죠. 가만히 두었을 때 말입니다. 이곳에서 개구리 한마리를 만났습니다. 구리빛.. 또는 금빛이 나는 개구리였죠. 첨 보는 듯한 개구리였지만 색깔이 약간 다른 참개구리였습니다. 등에는 금 줄이 세 개나 나 있어 금개구리보다 오히려 '금개구리' 같았습니다. 공사차량이 드나드는 입구에서 여기저기 뛰어다니며 방황하고 있었습니다. 갈 곳을 찾는 듯 했지만 그럴 수 없는 듯 했습니다. 이제 곧..

강의 눈물 2010. 11. 8. 07:25

참혹한 여주 신진교 붕괴, 4대강 사업 때문이다.

추천 감사합니다. 지난 9월 21일 여주의 신진교가 무너졌습니다. 신진교는 강천보 현장 바로 옆에 있는 것으로 덤프트럭과 중장비가 수시로 드나들던 교량이었습니다. 하지만 무너진 원인은 제한중량 초과도 아니고 노후화도 아닌 4대강 사업으로 때문이었습니다. 4대강 사업이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남한강, 이곳에는 엄청난 준설이 이루어졌습니다. 누구한테 쫓기듯 순식간에 강바닥을 다 퍼올렸습니다. 그로인해 여주 곳곳에는 새로운 모래산이 솟아났고 수많은 농지가 묵히게 되었습니다. 이는 수심 6m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 강바닥 준설은 3m 이상 실시 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엄청난 물고기들이 생사를 달리하고 앞으로 살아갈 터전도 빼앗겼습니다. 또한 그 물고기를 잡으며 생계를 잇던 어민들도 막막하게 되었죠. 이..

강의 눈물 2010. 9. 28. 15:02

추가 정보

인기글

  1. -
    -
    <무탄트 메시지> 우리에게 ‘메세지’ 남기고 ‘지구를 떠난’ 성자부족 이야기

    2013.02.23 07:31

  2. -
    다큐 울지않는 아기, 경이로운 자연출산

    2013.10.07 08:00

  3. -
    -
    초간단 화장실 원목 선반만들기.

    2013.09.05 08:15

  4. -
    -
    내 진짜 몰랐습니다. 옥수수에 보석이 박혀있는줄은요.

    2013.09.03 07:00

최신글

  1. -
    하하농장으로 오세요!

    카테고리 없음

  2. -
    -
    영주 맛집. 베트남 쌀국수, 베트남에 간 줄~

    봉화/영주 여행정보

  3. -
    -
    조롱박으로 진짜 바가지 만들기

    만들기

  4. -
    -
    맛있고 간단한 고추부각 만들기

    요리하기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온화田 답畓 © 김성만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